데이터베이스 4

DB와 DBMS (20220308)

데이터베이스란 관련된 데이터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의 조건 1. 공용데이터(Shared data) 나 혼자사용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라고 하지는 않는다. 여러사람이, 혹은 한 조직에서 여러부서가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모아뒀을때 그것을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 2. 통합데이터(Integrated data) 중복된 데이터를 철저히 제거해야 한다. 어떤 사정이나 의도에 의해 중복을 유지해야할 경우에는 어디에 어떻게 중복되어있는지를 시스템이 인지하고, 이것에 대한 컨트롤이 가능해야 한다. 3. 저장데이터(Stored data) 종이에 모은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다. 모아진 데이터는 반드시 컴퓨터가 접근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져야한다. (테이프, 디스크등) 또한 24시간 365일 온라인상에서 ..

데이터베이스 2022.03.08

생활코딩 mySQL의 CRUD

CRUD는 Create, Read, Update, Delete의 약자이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수행되는 네가지 동작을 말한다. 1. INSERT (Create) topic이라는 테이블로 키/배열 순의 값을 추가해주는 명령어이다. 여기서 NOW()는 현재 시간을 가져오는 함수이다. INSERT INTO 테이블이름 (칼럼) VALUES(칼럼에 해당하는 정보); 2.SELECT (Read) topic이라는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SELECT * FROM 테이블이름;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지 않고, 원하는 칼럼의 데이터만을 확인할 수도 있다. SELECT 칼럼명들(키들) FROM 테이블이름; 특정값으로 추가된 데이터들만 모아서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author값이 jia인 데이터들만 검색하..

데이터베이스 2022.02.18

생활코딩 mysql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생성

데이터베이스는 여러가지 규제정책을 가지고 있고, 그것들은 데이터를 깔끔하게 원하는 형식으로 유지하는데에 큰 도움을 준다. 1. mysql서버 접속하고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mysql -uroot -p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명령어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이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명령어 2. 데이터베이스들 확인하기 SHOW DATABASES; //현재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보여주는 명령어 3. 데이터베이스 사용과 테이블 생성 USE 데이터베이스이름;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사용 CREATE TABLE 테이블이름( 칼럼1, 칼럼2, ... ); //테이블을 생성

데이터베이스 2022.02.17

생활코딩 Database1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낼수있는 가장 간단한 수단은 파일이다. 하지만 파일은 성능, 보안, 편의성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있고, 이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고안된 전문화된 소프트웨어가 데이터베이스이다. 그리고 세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한다. (MySQL, Oracle, SQL Server, PostgreSQL, MongoDB등등) 데이터베이스는 매우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있는 정보도구이다. 하지만 이 모든 기능을 전부 배워야할 필요는 없다. 아무리 복잡한 기술도 그 중심에 자리잡고있는 핵심은 복잡하지않다.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만나든 우리가 생각해야 할 핵심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어떻게 입력하고 어떻게 출력하는가를 따져보는 것이다. 데이터의 입력에는 생성(Create), 수정(Update), 삭제..

데이터베이스 2022.02.07